오피 | 불가리아 총선 최종결과.jpg
페이지 정보
작성자 iammga 작성일21-07-15 조회112회 댓글0건본문
(
BSPzB
[
BSP
]: 불가리아를 위한 연합[불가리아 사회당],
ISMV
: 일어나라! 마피아는 꺼져라!,
DPS
: 권리자유운동,
ITN
: 이런 사람들 당,
DB
: 불가리아 민주당,
GERB – SDS
: 불가리아 유럽발전시민당 – 민주세력동맹,
B
P
: 불가리아 애국자들,
V
: 부활당,
BL
: 불가리아의 여름)
2021년 7월 불가리아 총선 최종결과
ITN
(대중주의, 직접민주주의, 반부패, 친EU): 24.07%(
+6.67
), 64석(
+13
)
GERB
(보수주의, 자유주의, 대중주의, 친EU): 23.52%(
-2.28
), 63석(
-12
)
BSP
(좌익민족주의, 대중주의, 친러파, 친EU): 13.40%(
-1.39
), 36석(
-7
)
DB
(환경주의, 자유보수주의, 반부패, 친EU): 12.63%(
+3.32
), 34석(
+7
)
DPS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터키계 권익): 10.71%(
+0.35
), 29석(
-1
)
ISMV
(직접민주주의, 반-엘리트주의, 친EU): 5.01%(
+0.36
), 14석(
=
)
B
P
(우익대중주의, 국수주의, 반부패, 반EU): 3.14%(
-2.79
), 0석(
=
)
V
(우익대중주의, 불가리아 민족주의, 반EU): 3.00%(
+0.59
), 0석(
=
)
BL
(대중주의, 대마초 합법화, 반부패, 반EU): 1.82%(
-1.09
), 0석(
=
)
Others
: 2.70%(
-3.74
), 0석(
=
)
제1야당
이런 사람들 당
제1당 등극, 연정 구성 차질
전체 의석: 240석
과반 의석: 121석
비례대표 봉쇄조항선: 4%
발칸반도 동부의 다뉴브강과 흑해 인근에 위치한 나라 불가리아에서 4월 4일 총선이 치러진 결과, 집권
유럽발전시민당
이 득표율 대하락에도 불구하고 제1당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극우 정당들이 표 분산으로 원내 진입에 실패함에 따라 불가리아는 극우 세력 상승세가 불발한 몇 안 되는 유럽국가 중 하나가 됐으며, 반대로 유럽연방주의 정당
Volt
가 참여한
ISMV
가 원내 진입에 성공하면서 네덜란드에 이어 두 번째로
Volt
가 원내 진출한 나라가 될 뻔했으나, 내부 비례 순위에서 밀리면서 성사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기존 연정 극우 정당들(
VMRO
,
Volya – NFSB
)의 부진과, 연립 제2당이던
애국연합
(OP)의 붕괴 후 표 갈림(
VMRO
,
NFSB
,
ATAKA
) 때문에 원내 정당 대부분이
보이코 보리소프 현 총리
에게 적대적인 세력들로 채워지면서 연정 구성이 매우 어렵게 됐습니다.
특히 또다른 중도우파 정당이던
개혁 연합
(RB)과 중도좌파 정당
ABV – D21
이 17년 총선에서 원외로 추락한 후 여러 갈래(
RB
: SDS ->
GERB – SDS
, DBG ->
ISMV
/
ABV – D21
: D21 ->
ISMV
)로 나뉘면서 신생 중도 야당들의 탄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이 결정적이었습니다.
신규 원내 정당 중에서 유명 가수 슬라비 트리포노프가 창당하고 정부의 봉쇄 정책을 비판하며 주목받은
ITN
은 기존
양
당
모두와의 연정을 거부한 상황이며,
DB
와
ISMV
는 아예 반
보리소프
시위 세력을 중심으로 만들어 졌기에
사회당
과의 연정 또는
DPS
와의 소수정부 구성 정도만 몇 안 되는 가능한 옵션으로 남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사회당
역시 반정부 여론만 믿고 시위 참여에만 열중하다가 코로나 사태 실질 대응 방안 및 경기부양책 등을 요구하던 지지층이 돌아서면서 갑작스레
3위
로 추락하는 등, 민심 이반으로 인한 타격이 이만저만이 아닌 상황이기에 대연정은 기득권 정치인들의 담합으로 간주될 위험이 있습니다.
게다가 터키계+집시(로마) 기반 정당인
DPS
와 연정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리아 민족주의자가 상당한
우파 진영
의 벌집을 쑤시는 것과 마찬가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더해 2020-21년 벌어진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촉발시킨 사건이
DPS 전 당대표
의 비리 스캔들이었는데다,
야당
발 스캔들로 인해 관련된
내각 장관 다수
가 교체되고
사회당 출신 대통령
과 정면 충돌하는 당혹스러운 결과를 가져왔기에, 껄끄러운 과거를 감안해서라도
보리소프 총리
가 쉬이 선택하기 힘든 사안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친EU 중도 3당(
ITN
+
DB
+
ISMV
)의 연정 가능성 또한 거론되고 있으나, 이 역시 과반 확보를 위해선
DPS
또는
사회당
과의 협력이 필수적이기에, 연정협상이 이어진 끝에 그나마 가능성이 높은
후자
마저 실패할 경우 재총선이 치러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우려는 현실이 되어 제1-3당 모두 연정 구성에 실패하면서 7월 11일에 재총선을 실시하게 됐습니다. 그 결과,
이런 사람들 당
이
유럽발전시민당
을 꺾고 1위에 등극하고 반부패 3당(
ITN
+
DB
+
ISMV
)이 합계
112석
을 얻으면서 여론조사 이상으로 선전했지만, 여전히 과반에 미달한 성적으로 정부 구성 가능성이 상당히 낮은 상황입니다.
이 와중에 극우 정당들은 4월 총선 전멸에서 위기감을 느낀 나머지
불가리아 국민운동
(VMRO)와
의지당 – 불가리아 구원 국민전선
(Volya – NFSB)이 합당하여 불가리아의 애국자들이라는 선거연합체를 구성하고,
불가리아 국민연합
처럼
불가리아의 여름
과 같은 중도성향 정당명부에 참여하며 온건화 된 면모로 다가가려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무색하게도, 민주화 이래 불가리아 역사상 최저 투표율(41%) 속에서 극우파 유권자들 상당수가 투표장에 나가지 않으며 7월 총선 역시 전멸당하는 결과만을 안고 가게 됐습니다.
한편, 전통적 양당을 구성하던
불가리아 사회당
은
선거연합체 구성원
을 다 합쳐야 간신히
불가리아 민주당
에게 제3당 자리를 지켜낼 정도로 쇠락하였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스타니슬라프 트리포노프 ITN 대표
는 과반 연정 목표를 뒤로 하고 본인이 아닌 다른 총리 후보를 내세운 단독 소수정부를 구성하겠다면서, 반체제 3당(
ITN
+
DB
+
ISMV
) 뿐만 아니라
유럽발전시민당
및
불가리아 사회당
의원 이탈표를 기대하는 중입니다.
만약 이번에도 정부 구성에 실패할 경우, 잦은 선거에 대한 피로감에 더해 올해 말에 있을 대통령 선거 때문에 연정 구성을 조율할 대통령 선출을 놓고 또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에 3차 총선 시점에 대해서 정치권의 부담이 매우 커질 전망입니다.
[속보] 불가리아 총선 최종결과.jpg : 클리앙 (clien.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