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을 맞이해 살펴보는 차세대 무기 개발 근황 [자필] > 업체후기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sking
카카오톡
텔레그램
업체후기

오피 | 현충일을 맞이해 살펴보는 차세대 무기 개발 근황 [자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hvovft 작성일21-06-06 조회136회 댓글0건

본문



loading_img.jpg?v1





레일건으로 탑재할 것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의 줌월트 구축함







1. 전전기함과 레일건




한국도 4월부터 대우조선해양이 전기만 사용하는 차세대 ‘전전기함정’ 제조 착수했음




전전기함의 가장 큰 특징은 레일건을 주무기로 탑재한다는거














미국이 개발중인 구축함용 레일건 성능은 초구 속도 마하6, 사정거리 350km










loading_img.jpg?v1




중국도 군함에 탑재하고 실험 중이고 당연히 일본도 개발중















이 브라우저는 비디오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크롬을 사용 권장합니다.













한국도 20mm로 시작해 2014년에 40mm 소구경 개발을 완료했으며





구축함용 및 K3 차세대 전차용으로 중구경 사이즈 개발 중 








loading_img.jpg?v1




2. 전열화학포



레일건이 성능은 좋지만 탱크에 탑재는 무리라고 생각해서 대체용으로 개발



레일건과 재래식의 혼합형태로 탱크 주포 관통력이 1000mm 이 안되는데 이 놈은 1100mm 관통함







국방과학연구소에서 120mm 용으로 실사격 실험까지 마쳤는데



탱크에 탑재할 정도의 축전기와 펄스발생기 개발이 지연되어 중단 됐다는 소문과



구축함에 쓰기 위해 140mm 개발이 완성됐다는 소문이 떠돔








loading_img.jpg?v1




3.레이저 아이언돔




발당 2천 만원짜리 미사일 대신 레이저를 쏘는 아이언돔을 개발중




현재 100m 이내 드론을 격추시키는 단계까지 왔으며










북한의 스커드 미사일 외피를 뚫을 정도의 고출력 레이저 기술도 개발 완료




고고도에서 음속으로 이동하는 물체를 요격할 수 있는 정밀도 과제만 남음








loading_img.jpg?v1






4. 4세대 원자력 핵잠수함




납-비스무스를 냉각재로 한 쇄빙선용 4세대 소형 원자로를 개량해서 탑재할 예정






교체주기는 40년이고 


현무4 개량형 SLBM 탑재해 비대칭전력 끝판왕이 될 듯












최대 장점은 한미 원자력 협정에 위배되지 않아 미국의 간섭을 받지 않아도 됨










loading_img.jpg?v1






5. 아스널쉽








사정거리 500km, 800km 버전인 현무2와 사정거리 1500km 순항미사일 현무3를 탑재하는 떠다니는 미사일 기지




2~3척을 2030년 전까지 전력화할 예정이며 총 150발 탑재 예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당근오피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