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 | '군대 부실급식' 오명 벗는다… "학교 급식처럼 경쟁입찰 도입"
페이지 정보
작성자 omtxpi 작성일21-07-04 조회136회 댓글0건본문


국방부가
50
년 만에 군 급식체계를 전면 개편에 나선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 유행 상황에서 불거진 '부실급식' 사태가 계기가 됐다.
국방부는 4일 "현행 군 급식 시스템은 공급자 위주의 농축수산물 조달체계여서 장병들의 선호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경쟁체계'와 '장병 선호'에 초점을 맞춘 급식체계 개편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1970
년 1월 장병 급식 공급을 위해 농축수협과 계획생산 협정을 맺었다.
군은 해당 협정에 따라 이후 약
50
년 동안 비슷한 식자재를 매년 공급받아 한정적인 장병 급식 메뉴를 마련해왔다.
국방부는 이처럼 경쟁계약이 없는 수의계약이 이어지다 보니 민간과 달리 군 급식엔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일례로 학교급식의 경우 '친환경 무상급식' 개념 등이 도입되며 차츰 개선돼왔지만 군 급식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었다.
이에 국방부는 '학교급식 전자조달시스템'(
eaT
)을 벤치마킹해 이와 유사한 조달체계를 장병 급식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
eaT
'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가
2010
년부터 운영 중이다.
국방부는 이를 모방한 '장병급식 전자조달시스템'(
MaT
)을 내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현재 군 급식에 식자재를 납품하고 있는 농축수협뿐 아니라 다른 공급자들도 참여할 수 있는 '경쟁체계'가 펼쳐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국방부는 "이미 조달된 식자재를 바탕으로 메뉴를 정하는 현행 방식에서 벗어나 장병 선호도를 고려해 메뉴를 정하고 식자재를 조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MaT
가 도입되면 군이 장병 선호와는 관계없이 관계 법령상 규제로 인해 구매해야 했던 각종 공산품과 가공식품이 급식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맛스타' 등으로 대변돼온 군납 전용 가공식품 대신 장병 선호에 맞는 다양한 외부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는 얘기다.
국방부 관계자는 "장병 건강과 선호,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며 "1식4찬의 메뉴를 구성하고 그 중 한 가지는 장병들이 좋아하는 메뉴를 편성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연 ㅋ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